개발 블로깅/Web EcoSystem
-
Bun 1.0 릴리즈 후, 서비스 개발에 문제 없을지 리서치 해본 결과개발 블로깅/Web EcoSystem 2023. 10. 4. 11:43
최근에 1.0 Release가 되었다는 소식에 다시 한번 리서치를 해보았다. 작년쯤에도 한번 리서치를 해보면서 그땐 pacakge Manager, RunTime까지만 제공하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 그 당시에는 발견할 수 없었던 Test Runner, Builder 등 웹 개발에 필요한 여러 툴도 Bun에서 직접 제공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Bun이 자체적으로 Yarn, pnpm보다 몇십배 빠르다고 주장하니, 만약 요게 맞다면 우리는 CI/CD 환경에서 돌아가는 Install, build 시간을 굉장히 크게 단축 시키고 빠른 배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이번에 Bun이 현재 Production 서비스 개발에 이용함에 문제가 없을지 중점으로 한번 리서치해본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해당 글에서는 ..
-
Node.js가 왜 싱글 스레드로 불리는지 "정확한 이유"를 알고 계신가요?개발 블로깅/Web EcoSystem 2023. 9. 28. 02:11
Node.js가 왜 싱글스레드 환경으로 불리는 것일까? Javascript 언어가 싱글 스레드 기반 언어라서? 사실 이에 대해서는 단순 허무하면서도 마냥 재미있는 이유가 숨겨져 있다. 우선 내가 Node.js가 싱글스레드라는 것을 인정하기까지 꽤나 혼란과 고생이 있었고, 결과를 알고 난 뒤에도 인정하기 어려운 결론이라 찝찝하긴 하다. 그래서 그 과정을 이렇게 블로그로 한번 남겨보려고 한다. 나는 지금까지 Node.js가 멀티 스레드인 줄 알았다. 아마 모두 위 소제목을 보자마자 "풉!" 하고 웃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너무나도 기초적이고 면접 준비를 조금이라도 해봤을 것이라면 무조건 알 수밖에 없을 내용이고, 그만큼 굉장히 핵심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그런데 나도 처음부터 잘못 알고 있었..
-
웹 생태계의 변화를 가져다 줄 Edge Computing개발 블로깅/Web EcoSystem 2023. 9. 26. 17:09
최근 웹 서비스 운영 생태계의 변화를 가져다 줄 운영 매커니즘으로 Edge Computing이 많이 거론되고 있다. 아직은 일반적인 웹 서버의 운영이, 동적인 데이터 변경과 Dynamic한 Server Side Rendering 처리로 인해 기존의 Origin Server가 위치한 곳까지 네트워크 요청을 하며 느린 응답을 받는 형식을 띄고 있다. 그나마 퍼포먼스 향상을 위해 정적인 컨텐츠 파일들은 CDN 서버와 캐싱 처리를 통해서 빠르게 전송을 할 수 있다. 특히나 이미지 또는 영상 같은 컨텐츠는 용량 사이즈가 매우 커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주는 CDN이 가져다주는 퍼포먼스 효과는 굉장하다. 그러나 동적인 컨텐츠 영역을 위해 Original Server까지 요청이 다다라야 하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