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인싸 개발자의 길
-
[2019.04.18] 좋은 질문을 하는 법핵인싸 개발자의 길 2019. 4. 18. 13:22
개발자에게 좋은 질문을 하는 방법을 공부하는 것은 선택사항이 아닌 필수이다! # 검색 우선 해결을 못하는 사항에 대해 검색을 해야한다. 문제의 에러메세지 전체가 이해가 가지 않더라도 한번쯤은 읽어본다. 에러 메세지의 여러 키워드를 통해 구글링 검색을 해본다. 이 때 내가 원하는 답을 얻지 못하더라도, 내가 무엇 무엇을 찾아 봤는지 정도는 기록, 기억, 트래킹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답을 얻기 보다는 더 나은 질문 keyword를 얻기 위함을 기억해야한다. # 내가 처한 문제를 상대방에게 설명하기 질문을 못하는 특징 내가 무엇을 모르는지 모를 때 질문하는 것을 번거로워 할 때 내가 상대방에게 질문하는 것에 부담스러움을 느낄 때 질문에는 바보같은 질문은 없지만, 정성을 들이지 않은 질문은 많다. 그러..
-
[2019.04.18] Recursion 함수 작성 시 주의할 점!핵인싸 개발자의 길/코드스테이츠 Immersive Course 2019. 4. 18. 10:53
오늘 아침 toy문제를 풀다가 멘붕에 빠지게 한 코드가 있었다. # 문제의 코드 내용 (실제 toy문제의 코드가 아닌 예시임) 첫번째 코드 function test(count){ if(count > 5) return; console.log(count); test(count++); } test(0); 두번째 코드 function test(count){ if(count > 5) return; console.log(count); test(count + 1); } test(0); 위 두 코드는 test라는 함수에 count를 1씩 증가시키면서 recursion호출을 하다가, count가 5 이상이 되면 recursion을 끝내는 함수이다. 보다시피 두 코드의 차이는, 단지 함수 내 에서 test를 호출을 할 때..
-
[2019.04.18] Recase.ly 스프린트를 진행하며핵인싸 개발자의 길/코드스테이츠 Immersive Course 2019. 4. 18. 01:23
현재 React로 youtobe 화면을 만드는 스프린트를 진행하고 있다. # 작업한 Recase.ly 화면 youtube API와 연동해서, 검색창에 검색을 하면 검색 영상과 관련 영상들을 유튜브처럼 화면에 보여주는 작업이다. # 스프린트를 진행하며 감탄한 부분 '실시간 검색 방식' 요즘 넷플릭스 등 서비스의 검색방식은, 검색어를 입력 후 엔터 키나 버튼을 누르는 방식이 아닌, 검색어 입력이 끝나면 바로 검색 내용이 나오도록 하는 방식을 쓴다. 그럼 검색내용을 한 글자 한 글자 쓸 때마다 검색기능을 실행하고 화면에 보여주는 작업을 하게 되지 않나? 라고 생각을 했다. 그래서 처음에는 검색 키워드가, 설정한 글자 수 이상이 되면 그때 검색 기능이 실행이 되도록 하는 것이였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해당 글..
-
[2019.04.12] 이머시브 ChatterBox 스프린트 시작핵인싸 개발자의 길/코드스테이츠 Immersive Course 2019. 4. 13. 00:20
지옥의(?) N-queens가 끝나고...새로운 스프린트 ChatterBox에 들어갔다. 이번 스프린트는 직접 HTML로 구현하가는 것인데, 서버와의 통신을 이용한다. 그런데 내가 모르는 새로운 개념을 하나 배우게 되었다. fetch API 비동기 서버요청 AJAX는 많이 사용해 봤는데, fetch라는 것이 있다. 이것을 쓰면 비동기 서버요청을 더 짧고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나온지 별로 안된 신기술인 것 같다. 그래서 구글링에서는 정보가 많은 편은 아닌 것 같다. fetchAPI는 일요일에 정리 좀 해야겠다. 저녁에 라면과 삼각김밥 하나만 먹었는데도 배가 고프지 않다..원래 이정도면 자기전에 엄청 배고파져야 하는데, 확실히 이머시브 진행하면서 먹는게 없어지니까 위가 줄어들었나보..
-
[2019.04.11] N-queens 스프린트를 진행하며..핵인싸 개발자의 길/코드스테이츠 Immersive Course 2019. 4. 12. 00:34
# N-queens에 대한 설명 n개의 체스판이 있다. 퀸은 체스판에서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움직일 수 있다. n * n의 체스판에서 n개의 퀸이 서로 이동경로가 겹치지 않도록 놓여져야 한다. 옆의 그림에 보면 8*8의 체스판이 있고 8개의 퀸이 있다. 각 퀸의 말은 가로,세로,대각선 이동경로가 겹치지 않는다. # 내가 생각한 N-queens를 풀어가는 방식 4 * 4의 배열이 있다 row의 인덱스를 i, colume의 인덱스를 j로 한다. [0,0] 위치에서부터 시작한다. [0,0] 시작점에서 해당 colume만큼(해당 줄만) for문을 돌린다. for문을 한번 돌 때마다, 해당 위치에서 row+1로 리커션 한다. 그럼 다음 row에서 해당 colume만큼 또 for문을 돌린다. 해당 for문에서도..
-
[2019.04.10] 이머시브 9일차, N-queens 스프린트 시작핵인싸 개발자의 길/코드스테이츠 Immersive Course 2019. 4. 11. 00:35
오늘 오전부로 DanceParty 스프린트 종료하고 페어리뷰를 또 나누게 되었다. 내가 받은 페어리뷰(단점만)말하기 전에 조금 더 생각을 정리하면 좋을 것. 한 문제에 대해 조금 더 꼼꼼히 확인 후 넘어갔으면... 그리고 다음 스프린트 N-queens에 들어갔다. 매우 어렵고 난이도가 높은 알고리즘 파트라고 한다.그래서 오늘 종일 풀어본 결과...알고리즘이라기보단...(이하 생략..ㅋ)이번에는 두명의 페어와 같이 하게 되어서 3명이서 한 조가 되었다. 오늘과 내일 하루종일 N-queens에 몰두할 예정이다.
-
[2019.04.09] 이머시브 8일차, DanceParty 스프린트 진행중핵인싸 개발자의 길/코드스테이츠 Immersive Course 2019. 4. 9. 20:02
어제, 오늘 하루종일 세번째 스프린트 Dance Party를 진행중이다. 이번 스프린트에서는 oop개념에 조금 더 익숙해지기 위한 스프린트 같다. 다형성, 상속, 이벤트핸들러 등등 오늘 배운 내용 : setTimeout에서 실행되는 함수의 this는 window를 가르키므로, 특정 요소를 가리키게 하려면 .bind를 해주어야 함. 오늘부터 매일 아침 1시간 알고리즘 문제를 푸는 Toy Ploblem에 들어갔다. 문제가 총 50개인가 했는데, 한 문제마다 git branch를 새로 생성시켜서 commit 해줘야 한다. 브랜치 생성 및 commit하기git checkout master : 마스터 브랜치로 변경 (마스터 브랜치의 하위 브랜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마스터로 변경해주어야함.) git chec..
-
[2019.04.08] 이머시브 7일차, DanceParty 스프린트 시작핵인싸 개발자의 길/코드스테이츠 Immersive Course 2019. 4. 9. 00:15
오늘부터 매 주 오전 Self Asseccement를 풀게 되었다. 오늘 오전에 친 시험은 Tree구현. 제한시간은 1시간...대다수가 문제를 제출하지 못하였다...(나는 했다ㅋ)오전부로 Data Structure 스프린트가 끝나고, 페어리뷰, 스프린트 리뷰를 진행한 후에 오후부터 새로운 스프린트 Dance Party에 들어갔다.Dance Party... ㅇ_ㅇ;...이름을 왜 댄스파티라고 했는지는 모르겠다. # DataStructure 스프린트를 진행하며 받은 페어리뷰자신의 생각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것이 좋았다. 나는 설명을 잘하나보다. 이전 페어리뷰때도 설명부분에서 장점을 받았다. 단점은 딱히 받지 않았다.왠지 이번 스프린트에서는 내가 목이 아파서 힘이 안나니까 조급한 행동이 강제로 억제되었나보..